[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웹 페이지를 가져오는 과정을 도식화한 그림]
출처 : http://tcpschool.com/webbasic/works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네트워크 계층]
- OSI 7 계층
응용, 표현, 세션, 전송, 네트워크, 데이터링크, 물리계층으로 나뉜다.
- TCP/IP
OSI는 7단계로 이루어져있는 반면, TCP/IP는 4단계로 이루어져있다.
Internet 계층은 addressing, packaging, routing 기능을 제공한다.
Application 계층은 애플리케이션들이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Transport 계층은 통신 노드 간의 연결을 제어하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
Network 계층은 에러 검출기능, 패킷의 프레임화를 한다.
(TCP/IP는 계층 개념보다는 프로토콜 개념에 가깝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Packet
패킷은 통신에서 주고 받는 데이터의 구조이다.
HTTP 통신으로 보내는 패킷은 크게 헤더(Header)와 바디(Body)부분으로 나뉜다.
- Header
데이터 이외에 HTTP 선두에 삽입되는 부분을 말하며, 목적에 따라 응답/요청 헤더로 나뉜다. - Body
실제 데이터 부분이다. 페이로드(Payload)라고도 하며 html텍스트 이외에도 이미지등과 같은 이진데이터도 가능하다.
IPv4는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32비트 번호이다. 주소는 마침표로 구분되는 4개의 8비트 필드로 구분된다.
IPv6
(등장배경 : IPv4 프로토콜의 주소가 32비트라는 제한된 주소 공간 및 국가별로 할당된 주소가 거의 소진되고 있다는 한계점으로 인해 지속적인 인터넷 발전에 문제가 예상되어,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IPv6 프로토콜이 제안되었다.)
IPv4는 32비트의 주소공간을 제공함에 반해, IPv6는 128비트의 주소공간을 제공한다.
IPv6의 128비트 주소공간은 다음과 같이 16비트(2옥텟)를 16진수로 표현하여 8자리로 나타낸다.
2001:0db8:85a3:08d3:1319:8a2e:0370:7334
그러나 대부분의 자리가 0의 숫자를 갖게 되므로, 0000을 하나의 0으로 축약하거나,
혹은 아예 연속되는 0의 그룹을 없애고 ':' 만을 남길 수 있다.
따라서 아래의 IPv6 주소들은 모두 같은 주소를 나타낸다.
2001:0DB8:0000:0000:0000:0000:1428:57ab
2001:0DB8:0000:0000:0000::1428:57ab
2001:0DB8:0:0:0:0:1428:57ab
2001:0DB8:0::0:1428:57ab
2001:0DB8::1428:57ab
Domain
IP주소를 기억하기 쉽게 바꾼 것이다.
unique한 것으로, 웹에서는 www. 다음에 오는 것이 도메인이다.
ex) naver.com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tier architecture (0) | 2024.06.26 |
---|---|
DHCP (0) | 2023.01.05 |
네트워크 CS 예상 문제 (0) | 2022.08.05 |
포트 (0) | 2022.04.09 |
서버 언어, 구조, WAS (0) | 2022.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