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병아리에서 꿩이 되어가는 과정] 대학교 학부 수업에서 배운 Computer Science 중심으로 IT 관련 내용을 기록하는 곳입니다.
공부하면서 얻은 지식들

Mercury corporation 아이디 비밀번호 ?

서버 포트포워딩 공부를 하면서 이러한 창을 마주하게 되었습니다. 사용자ID는 admin입니다. 비밀번호는 여러 가지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1. 0000 2. admin 3. skb_admin 4. skb_wifi 5. 유선 MAC 주소 뒷 6자리와 그 뒤에 _admin을 입력 저는 5번의 경우로 성공했습니다. 유선 MAC 주소는 집에서 사용하는 공유기의 뒷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때, 1111.222A.3B4C 이렇게 있으면 뒷 6자리는 2A3B4C 입니다. 가운데 .은 무시해야 합니다. 2A3B4C_admin

CS/네트워크

서버 언어, 구조, WAS

서버? 컴퓨터네트워크에서 다른 컴퓨터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또는 소프트웨어를 뜻한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관계] -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정보 및 서비스를 요청한다. 서버는 그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만들어서 응답한다. [서버의 구조 - 웹서버, Back-End Language, DB (DBMS)] Back-End Language : java(Spring), JavaScript(Node.js), Django(python) DB: MySql, MongoDB, MariaDB 서버: nginx, apache apache는 월드와이드웹 서버용 소프트웨어이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인기있는 웹 서버이다. java는 대표적인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spring은 자바 플랫폼을 위..

공부하면서 얻은 지식들

-bash: brew: command not found 해결법 (Mac m1)

$ export PATH=/opt/homebrew/bin:$PATH 로 경로설정을 해줘야한다.

개발/Git

Git 기초 명령어 (2)

git push : local repository의 내용을 remote repository에 보내기 git push -u origin master : local repository의 내용을 처음으로 remote repository에 올릴 때 사용한다. git pull : remote repository의 내용을 local repository로 가져오기 git clone (Github에 있는 오픈소스의 주소) : Github에 있는 프로젝트를 local repository로 가져오기 git log : 커밋 히스토리 보기 [--pretty=oneline 옵션 : 커밋 하나당 한 줄 씩] git diff : 두 커밋 사이의 변화 ------------------- git 명령어, 옵션 등이 긴 경우 git c..

개발/Git

Git 기초 명령어

git init : 현재 디렉토리를 Git이 관리하는 working directory로 설정하고 그 안에 repository(.git)을 생성 git status : 현재 저장소에서의 작업 내용을 확인 git config user.name '아이디' : 현재 사용자의 아이디를 설정 git config user.email '이메일 주소' : 현재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를 설정 git add [파일 이름] : 특정 파일을 staging area에 올림 git add [디렉토리 이름] : 해당 디렉토리 내에서 수정사항이 있는 모든 파일들을 staging area에 올림 git add . : working directory 내의 수정사항이 있는 모든 파일들을 staging area에 올림 git reset [파일..

개발/Linux

4. 리눅스 명령어 정리

pwd : 현재 디렉토리의 경로를 출력한다. ls : 해당하는 디렉토리나 파일의 정보를 보여준다. [a 옵션 : 숨겨진 파일을 포함한 모든 파일을 보여준다.] [l 옵션 : 더 자세한 정보를 보여준다.] cd : 경로에 해당하는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cd 뒤에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으면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ex) cd a : a로 이동한다. mkdir :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ex) mkdir dir1 dir2 : dir1와 dir2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touch : 파일의 마지막 수정시간을 업데이트하거나, 해당하는 파일이 없으면 파일을 생성한다. cat : 경로에 해당하는 파일들의 내용을 출력한다. less : 경로에 해당하는 파일을 페이지 단위로 나눠서 보여준다. head : 경로에 해..

개발/Linux

3. 터미널 단축키

Tab : 단어를 자동완성 시켜준다. ex) uncompress를 입력하고 싶을 때, unc까지 치고 Tab을 누르면 uncompress가 자동완성된다. / 자동완성할 수 있는 단어가 많으면, 터미널에 그 단어들을 나열해준다. Ctrl + A : 커서를 입력라인 맨 앞으로 이동 Ctrl + E : 커서를 입력라인 맨 뒤로 이동 Ctrl + C : 실행 중인 프로그램 중지 Ctrl + Z : 실행 중인 프로그램 일시정지 Ctrl + L : 화면 내용을 다 지움 (이전에 실행했던 커멘드 히스토리는 남아있음) Alt + ← : 커서를 앞 단어로 이동 Alt + → : 커서를 뒷 단어로 이동

개발/Linux

2. shell, bash, zsh

shell은 커맨드를 해석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man, cd같은 커맨드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shell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바꾸어준다. shell 종류 중 하나가 바로 bash이다. 이는 가장 보편적이고, 많은 UNIX 운영체제에서 기본 shell로 사용된다. Macbook의 OS인 macOS는 10.15 Catalina 이전 버전에는 bash를 기본으로 썼었는데, 10.15 버전 이후부터는 zsh을 기본으로 쓰기 시작했다. zsh가 쓰인 이유는 라이센스 문제를 해결하고 기존 bash와의 호환성을 가능한 많이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shell과 터미널은 엄격히 다르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컴퓨터에서의 검은화면은 shell이든, 터미널이든 두 가지로 섞여가며 불리기도 한다. 추가..

화서동 병아리
IT 병아리에서 꿩으로